6월, 2024의 게시물 표시

22. 성경의 7대 절기

레위기 23장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여러 절기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 성경의 7대 절기 출 23:14 너는 매년 세 번 내게 절기를 지킬 지니라 출 23:15 너는 무교병의 절기를 지키라 내가 네게 명령한 대로 아빕월의 정한 때에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 지니 이는 그 달에 네가 애굽에서 나왔음이라 빈 손으로 내 앞에 나오지 말 지니라 출 23:16 맥추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말에 밭에서 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출 23:17 네 모든 남자는 매년 세 번씩 주 여호와께 보일 지니라 이스라엘에서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은 3대 명절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유월절 은 무교절과 초실절, 오순절 로 이어지며 초막절 은 나팔절, 속죄일과 연결됩니다. 그리하여 이 모든 명절을 성경의 7대 절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유월절, 초막절은 우리나라의 설날, 추석과 날짜가 비슷합니다. 특히 초막절은 우리의 추석과 같이 음력으로 같은 날짜에 해당합니다. 단 이스라엘의 음력은 우리 나라보다 1개월이 빠르기 때문에 우리의 추석이 음력 8월 15일이라면 이스라엘의 초막절은 유대력으로 음력 7월 15일이 됩니다. 7대 절기를 순서대로 알아볼까요? 1) 유월절 (유대력 음력 1월 14일~대한민국 음력 2월 14일) 레 23:5 첫째 달 열나흗날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나온 날을 기념하여 하나님이 직접 제정하신 구원의 날입니다. '넘어간다'의 뜻을 가진 유월절은 어린 양의 피가 문설주에 발라진 집은 구원 받았듯이 어린 양이신 예수님의 피로 우리는 죄 씻음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기념해 기독교인들은 고난 주간을 지킵니다. 유월절 제사가 화목제인 것처럼 예수님이 대신 영원한 화목제물로 죽으신 것을 기념합니다. 고전 5:7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 되셨느니라 2) 무교절(유대력 음력 1월 15일) 유...

9. 이삭의 예배생활

이미지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시간은 하나님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시간입니다. 개인 예배란 한 개인이 말씀과 기도 가운데 인격적으로 하나님을 만나서 하나님의 은혜를 누리는 것을 말합니다. 개인 예배가 없으면 무의미한 시간을 보내거나 방황 할 수 있습니다. 개인 예배는 흐려진 영혼의 초점을 잡게 하여 방황을 끝내고 방향을 잡게 합니다. 1. 모리아산에서의 예배 창세기 22장은 아브라함이 이삭을 드리는 사건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당시 아브라함은 브엘세바에 거 하였는데 그곳에 에셀나무를 심고 나무 아래에서 예배를 드렸습니다. 아브라함이 에셀나무를 심은 것은 그곳에 제단을 쌓고 예배를 드리기 위함이었습니다. 아브라함은 어디를 가든지 예배 중심의 삶을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창 22:2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네 아들 네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서 내가 네게 일러 준 한 산 거기서 그를 번제로 드리라 창 22:5 이에 아브라함이 종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나귀와 함께 여기서 기다리라 내가 아이와 함께 저기 가서 예배하고 우리가 너희에게로 돌아오리라 모리아산은 롯을 구한 아브라함이 살렘왕 멜기세덱를 만난 장소이고 또 다윗이 값을 주고 산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이 있는 곳이며 솔로몬이 그곳에 성전을 세우지요. 그리고 신약에서는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신 골고다 언덕이기도 합니다. 아브라함은 거기에서 하나님이 예배를 원하신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번제는 하나님께 제사하는 예배였으니까요. 이삭은 10대 후반의 청년 이였습니다. 충분히 아버지의 손을 뿌리치고 달아날 수도 있는 나이였습니다. 그런데 이삭은 아버지에게 순종 합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요? 이삭은 아버지 아브라함의 마음을 알지 않았을까요? 하나님께 받은 말씀을 아무에게도 하물며 아내인 사라 에게도 말하지 않았는데 이삭은 어떻게 아버지 마음을 알았을까요? 그것이 바로 이삭도 아버지 아브라함의 영향으로 하나님께 늘 예배 하였다는 것입니다. 아버지께 순종 해 묵묵히 나무를 지고 올라가는 이삭...

8. 아브라함의 믿음

이미지
 성경에서 아브라함의 등장은 이스라엘 국사의 시작인 동시에 하나님이 직접 다스리시기를 원하시는 하나님 나라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모형으로 이스라엘 나라를 세우려고 하셨습니다.  1. 아브라함의 믿음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통해 믿음이 무엇인지? 어떻게 구원을 받는 지를 말씀하십니다. 믿음이란? 자신의 뜻을 성취하기 위해 하나님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먼저 순종 하는 것입니다. 아브라함이 순종 하여 가나안 땅으로 간 것은 세상에 살던 사람이 하나님의 나라로, 지옥으로 가던 길에서 천국 가는 길로 갈아탄 것과 같습니다. 아브라함은 하란에서 가나안까지 그 먼 길을 마다하지 않고, 고향과 친척과 아비 집을 떠나는 것이 마음에 걸린다고 거절하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 했습니다.(창 12:5) 믿음의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특징은 순종입니다. 온전한 순종의 본이 되신 예수님은 죽기까지 순종 하셨습니다. 우리가 세상 나라에서 하나님 나라로 가기 위해서는 하나님께 100% 순종 하여야 하며 예수님을 나의 주인으로 영접해야 합니다.  믿음이란? 말씀을 더하거나 빼지 않고 그대로 믿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자녀를 주시겠다고 한 때가 그의 나이 75세 때 입니다.(창 12:2) 세상에서 믿음의 길로 막 들어선 시점입니다. 그런데 말씀을 안 하셨으면 모르겠는데 20년이 지나도 자녀는 없고 그의 나이는 100세 가까이 되어 갑니다. 아브라함은 자기 종을 양자로 삼으려고 합니다. 그때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밖으로 불러내시고 '너의 종을 양자 삼는 아들이 아니라 너를 통해서 날 자가 상속자가 되리라' 하시고 아브라함에게 '하늘의 뭇 별을 셀 수 있는지 물으며 아브라함의 자손이 이와 같을 것이라고 정확하게 말씀해 주십니다. 우리도 정확한 신앙을 가져야 합니다. 정확하지 않으면 종인 엘리에셀이 아들일까? 하갈을 통해 자녀를 낳으라는 것일까? 하면서 자기 감으로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