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4의 게시물 표시

22. 성경의 7대 절기

레위기 23장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여러 절기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 성경의 7대 절기 출 23:14 너는 매년 세 번 내게 절기를 지킬 지니라 출 23:15 너는 무교병의 절기를 지키라 내가 네게 명령한 대로 아빕월의 정한 때에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 지니 이는 그 달에 네가 애굽에서 나왔음이라 빈 손으로 내 앞에 나오지 말 지니라 출 23:16 맥추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말에 밭에서 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출 23:17 네 모든 남자는 매년 세 번씩 주 여호와께 보일 지니라 이스라엘에서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은 3대 명절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유월절 은 무교절과 초실절, 오순절 로 이어지며 초막절 은 나팔절, 속죄일과 연결됩니다. 그리하여 이 모든 명절을 성경의 7대 절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유월절, 초막절은 우리나라의 설날, 추석과 날짜가 비슷합니다. 특히 초막절은 우리의 추석과 같이 음력으로 같은 날짜에 해당합니다. 단 이스라엘의 음력은 우리 나라보다 1개월이 빠르기 때문에 우리의 추석이 음력 8월 15일이라면 이스라엘의 초막절은 유대력으로 음력 7월 15일이 됩니다. 7대 절기를 순서대로 알아볼까요? 1) 유월절 (유대력 음력 1월 14일~대한민국 음력 2월 14일) 레 23:5 첫째 달 열나흗날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나온 날을 기념하여 하나님이 직접 제정하신 구원의 날입니다. '넘어간다'의 뜻을 가진 유월절은 어린 양의 피가 문설주에 발라진 집은 구원 받았듯이 어린 양이신 예수님의 피로 우리는 죄 씻음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기념해 기독교인들은 고난 주간을 지킵니다. 유월절 제사가 화목제인 것처럼 예수님이 대신 영원한 화목제물로 죽으신 것을 기념합니다. 고전 5:7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 되셨느니라 2) 무교절(유대력 음력 1월 15일) 유...

15. 모세의 예배(열 가지 재앙)

이미지
이집트는 나일강을 선물이라고 말합니다. 나일강은 매년 범람하여 홍수와 함께 내륙에서 옥토가 밀려오는데 이 옥토는 최고의 곡창 지대를 만들 수 있는 자연의 선물이며 홍수는 자연의 순환이며 나일강은 또한 그들의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했습니다. 나일강이 이렇게 중요한 만큼 출애굽 직전의 애굽의 열 가지 재앙도 나일강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1. 열 가지 재앙 이집트의 종교는 다신교로서 주로 나일강에 관계된 곤충과 동물들을 많이 섬겼습니다. 출애굽기에 나오는 열 가지 재앙에도 다양한 곤충들이 나오지요. 파리, 이, 메뚜기, 개구리 등으로 이러한 곤충은 그들이 섬기는 신들이기도 합니다. 거기에 태양을 가리는 재앙은 바로를 태양신이라고 섬기는 애굽의 종교에 대한 정면 도전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열 가지 재앙은 하나님이 그들이 섬기는 신을 심판하심을 나타낸 것입니다. 40년 만에 하나님이 주신 지팡이 하나 들고 애굽의 궁중에 나타난 모세를 보십시요. 하나님께서는 왜 굳이 모세를 보내셨을까요? 그것은 모세는 왕자였기 때문입니다. 노예에 불과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어떻게 바로를 볼 수 있으며 바로에게 말을 할 수 있었겠습니까? 모세은 왕자였었기에 당당히 바로궁에 들어 갈 수 있었던 것이지요. 모세가 바로에게 이스라엘 백성을 광야로 보내 줄 것을 요구합니다. 그러나 바로는 눈앞에 직면한 재앙을 피하기 위해서 모세와 대화를 할 뿐 정말로 이스라엘 백성들을 보내고자 하는 마음은 전혀 없는 것입니다.  재앙의 순서 나일강은 이집트의 젖줄이라고 합니다. 나일강의 물로 사람도 먹고 짐승들도 먹습니다. 나일강의 물이 범람한 후에는 옥토가 되어 농사를 잘 지을 수 있기에 이집트인들은 나일강의 범람이 신이 준 선물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물이 피로 변한 때 는 나일강이 범람하는 9월에 일어납니다. 강물이 범람하여 도시 곳곳에 물이 넘치는데 그 물이 피라고 생각해 보십시오. 정말 큼찍한 광경이 상상 되어 집니다. 핏물의 범람이 끝나고 질퍽한 진흙 위로 두 번째, 개구리가 모여...

14. 모세의 예배(부르심과 사명)

이미지
 요게벳의 신앙 교육은 모세에게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게 했습니다. 요게벳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최대로 활용해 모세를 하나님의 사람으로 양육했던 것입니다. 1. 모세의 광야 생활 모세는 애굽 궁정에서 최고의 학문을 배우며 성장합니다. 부족한 것 없는 공주의 아들로 자라납니다. 그러나 그의 마음 깊은 곳에서는 히브리 사람의 피가 흐릅니다. 모세가 40세가 되었을 때 애굽 사람과 히브리 사람이 싸우는 것을 보고 본능적으로 히브리 사람을 보호하려다 애굽 사람을 죽이는 사건이 생깁니다. 이로 인해 모세는 미디안 광야로 도피해서 광야 40년의 훈련을 받게 됩니다. 그 40년의 훈련 과정은 바로 하나님의 때를 기다리는 과정입니다. 광야 우물가에서 물 긷던 여인과 결혼한 모세는 장인 이드로의 양을 치는 목동이 됩니다. 애굽의 왕이 될 신분에서 한낮 목동으로 전락한 모세는 어쩌면 40년동안 교육 받았던 애굽의 최고의 문화와 습관을 다 잊어버리게 되고 또 다른 40년의 광야 생활을 통해 몸과 마음이 약해진 상태가 되었습니다.  모세가 광야 생활을 하고 있을 때 애굽의 상황은 어떠했을까요? 모세를 양 아들로 삼은 애굽의 공주 하셉수트는 남편 투트모스 2세가 죽자 첩의 소생인 어린 투트모스 3세를 재치고 자신이 왕위에 올라 23년 간 통치합니다. 이때는 모세도 애굽 궁정에서 양어머니의 보호를 받으며 살았지요. 그 후로 투트모스 3세가 자라나 하셉수트의 외동딸과 결혼을 하게 하여 왕위에 등극하게 되고 투트모스 3세와 함께 왕위의 후계자였던 모세는 광야로 쫓겨가게 되는 상황이 됩니다. 그러니까 모세의 광야 40년 세월은 투트모스 3세가 애굽을 다스린 시기입니다. 투트모스 3세는 가나안 땅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군사를 이끌고 가나안 땅을 칩니다. 므깃도에서 승리하게 된 그는 그의 전적을 카르날 신전에 전승비로 남기기도 합니다. 통치  40년 후에 투트모스 3세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아멘호텝 2세가 왕위에 오릅니다. 이 즈음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