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023의 게시물 표시

23. 민수기- 광야생활1

 민수기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 생활 40년 중 36년 이상을 기록한 책입니다. 1장과 26장의 인구조사로 인해 사람들에게 이해하기 쉽도록 70인경을 헬라어로 번역할 때 '민수기'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1. 인구조사 출애굽기는 고센에서 시내산까지, 레위기는 시내산에서 받은 율법 이야기, 민수기는 시내산에서 모압 평지까지, 신명기는 모압 평지에서 기록 되었습니다. 민수기는 광야와 같은  생활을 하는 성도의 삶을 말하고 있습니다. 구원 받은 백성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말해주는 책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의 이동 경로로 많은 장소들을 말하고 있지만 그곳이 어디인지는 정확히 알 수가 없습니다. 민수기의 광야와 신명기가 알려주는 광야의 장소가 서로 다르게 표현된 곳도 많기 때문입니다.  민수기 1장은 시내산에서 애굽에서 나온 이스라엘 백성들의 장정의 수를 지파별로 기록하고, 26장에서는 광야 생활을 마친 후 모압 평지에서 2세대들의 인구를 조사한 것입니다. 모압 평지에서의 인구 조사는 1차 조사를 하고 광야를 거치는 동안 애굽에서 나온 20세 이상의 장정은 모두 죽고 그들의 후손들을 계수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민 1:2 너희는 이스라엘 자손의 모든 회중 각 남자의 수를 그들의 종족과 조상의 가문에 따라 그 명수 대로 계수 할 지니 민 1:3 이스라엘 중 이십 세 이상으로 싸움에 나갈 만한 모든 자를 너와 아론은 그 진영별로 계수하되 민 1:46 계수 된 자의 총계는 육십만 삼천 오백 오십 명이었더라 민 26:2 이스라엘 자손이 온 회중의 총수를 그들의 조상의 가문을 따라 조사하되 이스라엘 중에 이십 세 이상으로 능히 전쟁에 나갈만한 모든 자를 계수하라 하시니 민 26:51 이스라엘 자손이 계수 된 자가 육십만 천 칠백 삼십 명이었더라 지파별로 보면 요셉 지파와 아셀 지파는 인구가 많이 늘었고 시므온 지파는 시내산에서 계수 할 때는 유다와 단 지파의 뒤를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졌었으나 광야를 지나면서 음란과 우...

1. 아브라함의 예배생활

이미지
 가정은 작은 교회입니다. 교회에 예배가 없고 말씀과 기도가 없다면 그 교회가 정상적이겠습니까? 예배 없는 가정은 지붕 없는 집과 같아서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 때에 막아 줄 수 없는 집과 같습니다. 1. 하나님을 만난 아브라함(창 12:1-3) 창 12:1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 너는 너의 고향과 친척과 아버지의 집을 떠나 내가  네게 보여 줄 땅으로 가라 창 12:2 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 하게 하리니 너는 복이 될 지라 창 12:3 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 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라 하신 지라 아브람은 우상을 만들고 파는 가정에서 살다가 하나님을 만났습니다. 하나님은 아브람에게 아버지의 집을 떠나 가나안 땅으로 가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아브람은 곧바로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그의 아내 사래와 조카 롯 그리고 그의 모든 소유와 사람들을 이끌고 가나안 땅으로 갑니다. 어떻게 이럴 수 있지요?  말씀 한마디에 온전히 순종하는 아브람!! 아브람처럼 우리가 하나님을 만나야 합니다. 하나님을 만난 사람은 하나님의 말씀대로 행합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행할 수 있도록 하나님을 경험해야 합니다. 즉 예수님을 위해 살고 예수님을 위해 죽을 수 있을 정도로 예수님을 경험해야 합니다. 2. 첫예배를 드리는 아브라함 창 12:7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 이르시되 내가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라 하신지라 자기에게 나타나신 여호와께 그가 그곳에서 제단을 쌓고 가나안 땅에 도착하자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셔서 내가 이 땅을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라고 말씀하십니다. 아브람이 가나안 땅에 도착하여 가장 먼저 한 일은 자기에게 나타나신 하나님께 제단을 쌓고 예배 드리는 것 이었습니다.  이때부터 아브함은 하나님께 예배 하며 살게 됩니다. 아브람이 낮 선 땅에서 어떻게 살고 무엇을 할지 막막할 때 아브람에게는 예배와 기도 가 ...

헤롯의 죽음과 예수님의 탄생

이미지
 '헤롯 왕'은 에서의 후손인 이두매 사람 안티파터의 아들로서 BC 73년 경에 태어났습니다. 유대를 다스린 헤롯 왕조(BC 40 ~ AD 93년)의 첫 대 헤롯입니다. 헤롯은 BC 37 ~ BC 4년까지 유대를 다스립니다. 그의 통치 말년에 예수님이 탄생하게 됩니다. 1. 예수님의 탄생 유대의 왕이 태어났다는 동방 박사의 말은 헤롯을 엄청난 충격에 빠지게 만듭니다. 자신이 어떻게 얻은 유대의 왕 자리인데 그 많은 뇌물을 로마 지도자들에게 바쳐서 얻은 자리인데 또 다른 유대인의 왕이 태어났다고 하니 얼마나 놀라고 화가 났을까요? 헤롯은 자신을 몰아내고 왕이 될까봐 유대의 공주인 마리암네에게서 태어난 아들까지 다 죽였는데 또 다른 왕이 태어났다니 말입니다.  마 2:16 이에 헤롯이 박사들에게 속은 줄 알고 심히 노하여 사람을 보내어 베들레헴과 그 모든 지경 안에 있는 사내아이를 박사들에게 자세히 알 본 그 때를 기준 하여 두 살부터 그 아래로 다 죽이니 그는 2살 이하의 아기를 모두 죽이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이렇게 자신이 얻은 유대의 왕의 자리를 지키려고 몸부림을 치던 헤롯도, 천년 만년 유대의 왕 노릇을 할 것 같았던 헤롯도 예수님이 태어난 그해 죽습니다. 이것으로 헤롯이 죽은 해가 예수님의 탄생 연도 라는 것을 세계 역사는 증명합니다. 2. 헤롯 가문 헤롯은 하스몬 왕가의 공주 마리암네 말고도 대제사장 시므온의 딸 미리암 2세를 아내로 맞이하여 빌립 1세를 낳습니다. 그는 세례 요한에게 책망 받은 헤로디아의 남편입니다. 이 헤로디아를 분봉왕인 헤롯 안디바가 차지하자 세례 요한이 책망한 것이지요. 또한 사마리아 여인 말다게에게서 아켈라오와 헤롯 안티파스를 낳습니다. 그리고 클레오파트라라는 아내에게서 빌립 2세를 낳습니다. 빌립 2세는 헤로디아의 딸 살로메와 결혼합니다. 헤롯의 마지막은 BC 4년에 70세의 일기로 죽습니다.  유대는 그의 세 아들 아켈라오. 안티파스, 빌립에게 분할 됩니다. 아켈라오는 유대와 사마리아를 안티파스는 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