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성경의 7대 절기

레위기 23장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여러 절기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 성경의 7대 절기 출 23:14 너는 매년 세 번 내게 절기를 지킬 지니라 출 23:15 너는 무교병의 절기를 지키라 내가 네게 명령한 대로 아빕월의 정한 때에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 지니 이는 그 달에 네가 애굽에서 나왔음이라 빈 손으로 내 앞에 나오지 말 지니라 출 23:16 맥추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말에 밭에서 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출 23:17 네 모든 남자는 매년 세 번씩 주 여호와께 보일 지니라 이스라엘에서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은 3대 명절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유월절 은 무교절과 초실절, 오순절 로 이어지며 초막절 은 나팔절, 속죄일과 연결됩니다. 그리하여 이 모든 명절을 성경의 7대 절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유월절, 초막절은 우리나라의 설날, 추석과 날짜가 비슷합니다. 특히 초막절은 우리의 추석과 같이 음력으로 같은 날짜에 해당합니다. 단 이스라엘의 음력은 우리 나라보다 1개월이 빠르기 때문에 우리의 추석이 음력 8월 15일이라면 이스라엘의 초막절은 유대력으로 음력 7월 15일이 됩니다. 7대 절기를 순서대로 알아볼까요? 1) 유월절 (유대력 음력 1월 14일~대한민국 음력 2월 14일) 레 23:5 첫째 달 열나흗날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나온 날을 기념하여 하나님이 직접 제정하신 구원의 날입니다. '넘어간다'의 뜻을 가진 유월절은 어린 양의 피가 문설주에 발라진 집은 구원 받았듯이 어린 양이신 예수님의 피로 우리는 죄 씻음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기념해 기독교인들은 고난 주간을 지킵니다. 유월절 제사가 화목제인 것처럼 예수님이 대신 영원한 화목제물로 죽으신 것을 기념합니다. 고전 5:7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 되셨느니라 2) 무교절(유대력 음력 1월 15일) 유...

헤롯의 죽음과 예수님의 탄생

 '헤롯 왕'은 에서의 후손인 이두매 사람 안티파터의 아들로서 BC 73년 경에 태어났습니다. 유대를 다스린 헤롯 왕조(BC 40 ~ AD 93년)의 첫 대 헤롯입니다.
헤롯은 BC 37 ~ BC 4년까지 유대를 다스립니다. 그의 통치 말년에 예수님이 탄생하게 됩니다.


1. 예수님의 탄생

유대의 왕이 태어났다는 동방 박사의 말은 헤롯을 엄청난 충격에 빠지게 만듭니다. 자신이 어떻게 얻은 유대의 왕 자리인데 그 많은 뇌물을 로마 지도자들에게 바쳐서 얻은 자리인데 또 다른 유대인의 왕이 태어났다고 하니 얼마나 놀라고 화가 났을까요? 헤롯은 자신을 몰아내고 왕이 될까봐 유대의 공주인 마리암네에게서 태어난 아들까지 다 죽였는데 또 다른 왕이 태어났다니 말입니다. 
마 2:16 이에 헤롯이 박사들에게 속은 줄 알고 심히 노하여 사람을 보내어 베들레헴과 그 모든 지경 안에 있는 사내아이를 박사들에게 자세히 알 본 그 때를 기준 하여 두 살부터 그 아래로 다 죽이니
그는 2살 이하의 아기를 모두 죽이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이렇게 자신이 얻은 유대의 왕의 자리를 지키려고 몸부림을 치던 헤롯도, 천년 만년 유대의 왕 노릇을 할 것 같았던 헤롯도 예수님이 태어난 그해 죽습니다. 이것으로 헤롯이 죽은 해가 예수님의 탄생 연도 라는 것을 세계 역사는 증명합니다.

2. 헤롯 가문

헤롯은 하스몬 왕가의 공주 마리암네 말고도 대제사장 시므온의 딸 미리암 2세를 아내로 맞이하여 빌립 1세를 낳습니다. 그는 세례 요한에게 책망 받은 헤로디아의 남편입니다. 이 헤로디아를 분봉왕인 헤롯 안디바가 차지하자 세례 요한이 책망한 것이지요. 또한 사마리아 여인 말다게에게서 아켈라오와 헤롯 안티파스를 낳습니다. 그리고 클레오파트라라는 아내에게서 빌립 2세를 낳습니다. 빌립 2세는 헤로디아의 딸 살로메와 결혼합니다.
헤롯의 마지막은 BC 4년에 70세의 일기로 죽습니다. 
유대는 그의 세 아들 아켈라오. 안티파스, 빌립에게 분할 됩니다.
아켈라오는 유대와 사마리아를 안티파스는 갈릴리지역과 요단동편 지역을 빌립은 갈릴리 위쪽지역을 다스리는 왕이 됩니다.
여기서 아켈라오는 그의 아버지 대헤롯과는 다르게 악정을 행하여 유대 백성들의 원성을 사게 되지요. 유대 백성들은 로마의 가이사에게 아켈라오를 상소합니다. 그것으로 인해 아켈라오는 약 10여 년 만에 유대의 왕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됩니다. 유대는 로마의 직속 총독 체제로 바뀌게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