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성경의 7대 절기

레위기 23장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여러 절기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 성경의 7대 절기 출 23:14 너는 매년 세 번 내게 절기를 지킬 지니라 출 23:15 너는 무교병의 절기를 지키라 내가 네게 명령한 대로 아빕월의 정한 때에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 지니 이는 그 달에 네가 애굽에서 나왔음이라 빈 손으로 내 앞에 나오지 말 지니라 출 23:16 맥추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말에 밭에서 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출 23:17 네 모든 남자는 매년 세 번씩 주 여호와께 보일 지니라 이스라엘에서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은 3대 명절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유월절 은 무교절과 초실절, 오순절 로 이어지며 초막절 은 나팔절, 속죄일과 연결됩니다. 그리하여 이 모든 명절을 성경의 7대 절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유월절, 초막절은 우리나라의 설날, 추석과 날짜가 비슷합니다. 특히 초막절은 우리의 추석과 같이 음력으로 같은 날짜에 해당합니다. 단 이스라엘의 음력은 우리 나라보다 1개월이 빠르기 때문에 우리의 추석이 음력 8월 15일이라면 이스라엘의 초막절은 유대력으로 음력 7월 15일이 됩니다. 7대 절기를 순서대로 알아볼까요? 1) 유월절 (유대력 음력 1월 14일~대한민국 음력 2월 14일) 레 23:5 첫째 달 열나흗날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나온 날을 기념하여 하나님이 직접 제정하신 구원의 날입니다. '넘어간다'의 뜻을 가진 유월절은 어린 양의 피가 문설주에 발라진 집은 구원 받았듯이 어린 양이신 예수님의 피로 우리는 죄 씻음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기념해 기독교인들은 고난 주간을 지킵니다. 유월절 제사가 화목제인 것처럼 예수님이 대신 영원한 화목제물로 죽으신 것을 기념합니다. 고전 5:7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 되셨느니라 2) 무교절(유대력 음력 1월 15일) 유...

4. 셋과 에노스의예배

1. 아벨 대신 셋

하나님께서는 아벨의 죽음으로 아벨 대신 '셋' 을 주셨습니다. 셋이란? 대치하다 는 의미를 지닌 히브리어 '쉬트' 에서 유래했습니다. 아벨 대신 보상으로 주신 자라는 뜻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셋을 통해 다시 하나님의 계획과 꿈을 이어가셨습니다.

가인은 에덴 동 편 놋 땅에서 크게 문명을 이루며 번성해 가는데 셋은 이제 시작하니 세상의 문화인 가인의 후손들과 상대가 될까 할 수 있으나 하나님으로 시작하는 셋의 시간은 가인의 길보다  더 빠르고 복 되고 행복한 길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셋의 후손 에노스

셋은 105세에 에노스를 낳았습니다. 에노스라는 이름은 '연약한 자, 유한한 자' 라는 뜻입니다. 셋이 인생을 살아보니까 하나님 앞에서 인간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고 에노스라 한 것입니다. 에노스는 셋의 신앙 고백이 담긴 이름입니다. 
이것을 보면 셋은 에노스를 낳기 전 100여 년 동안 자신 혼자 개인 예배를 통해 하나님만 바라보고 의지하며 굳굳이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때론 가는 길이 멀어 보이고 이렇게 늦어서 언제 되나 싶고 외롭게 좁은 길을 갈 때가 얼마나 많았겠습니까? 세상에 악이 득세하는 가인의 후손들이 장악하고 있었는데 그 한 곳에서 묵묵히 하나님만 바라보며 개인 예배 하며 나아간 셋은 결국 세상을 이기는 믿음으로 승리합니다.

창 4:26 셋도 아들을 낳고 그의 이름을 에노스라 하였으며 그 때에 사람들이 비로소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더라 
성경은 에노스 때부터 사람들이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불렀다'는 히브리어로 '카라, 즉 예배하다' 라는 뜻이 있습니다. 아브라함이 예배하고 이삭이 예배 한 것과 같이 바로 셋의 아들 에노스 때부터 함께 예배 드리는 공동체 예배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3. 영의 사람과 육의 사람

이렇게 하나님을 떠난 가인의 후손들이 세상의 문화를 주도하며 번성하기 시작 할 때에 셋의 후손은 세상 문화 보다는 하나님께 먼저 예배 하기를 시작했던 것이죠.
가인의 후손들은 문화를 발달 시키고 세상 가운데 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그들은 하나님과 아무 상관 없이 자기 중심적으로 살아갔습니다. 가인의 후손들 중에서는 어느 누구 하나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거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 사람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셋과 그의 후손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며 예배 하는 삶을 살았다고 말합니다.
 셋의 후손은 세상을 중심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예배를 통해 하나님 중심으로 살면서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로 세상을 이겼습니다.

여기서 영의 사람인 조나단 에드워드 목사님의 후손들 이야기와 육의 사람이었던 맥스 쥬크의 후손들을 비교해 보도록 할께요.
조나단 에드워드 목사님은 경건한 여인 사라와 결혼해 슬하에 11명의 자녀를 둡니다. 그로부터 8대까지 내려가면서 그의 후손들은 부통령 1, 주지사 3, 대학 총장 13, 시장 3, 장 차관 82, 변호사 149, 판 검사 45, 목사 116, 의사 68, 대학교수 65, 세계적인 사업가 75, 발명가 25.... 수많은 후손들이 사회 곳곳에서 하나님의 일꾼으로 쓰임을 받았습니다. 반면 맥스 쥬크는 방탕한 여인과 결혼해 그들의 후손 5대에 걸쳐 2,240명이 나왔는데 그 중에 겨우 20명만 정상적인 인생을 살았고 나머지는 어릴 때 죽은 유아 사망자, 걸인, 도둑, 살인자, 매춘 부, 알코올 중독자 등이었다고 합니다. 이 두 가정을 보면 바로 셋의 후손과 가인의 후손을 보는 것 같지 않습니까?

셋의 후손도 가인의 후손과 동일하게 아담의 후손이기에 죄의 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도 가인의 후손들처럼 세상의 문화와 문명을 따라 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셋의 후손은 세상을 따라가지 않고 예배 하며 하나님을 따라가고 말씀을 따라가고 세속의 문화를 이겨냅니다. 
셋과 에노스는 예배를 통해 믿음을 지키고 믿음의 대를 이어 갔습니다. 셋의 후손 가운데 죽음을 보지 않고 살아서 하나님의 나라로 승천한 에녹이 있고 홍수 심판 때 온 가족을 구원한 노아가 나옵니다. 이렇게 보면 가인의 후손은 화려하고 용감하고 잘나가는 것 같았지만 그들은 홍수 심판 때 한 사람도 구원 받지 못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셋의 후손을 통해 아브라함과 다윗 그리고 예수님이 오셨습니다.(눅 3:23-38)

말씀과 기도 그리고 가정 예배와 개인 예배로 깨어 있어야 셋의 후손의 길을 가면서 가정을 구원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때에 나와 우리 가정을 지킬 수 있는 것은 바로 예배입니다.
오늘도 여러분의 가정에서 가정 예배 그리고 개인 예배 이루어 가시기를 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