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민수기- 광야생활1

 민수기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 생활 40년 중 36년 이상을 기록한 책입니다. 1장과 26장의 인구조사로 인해 사람들에게 이해하기 쉽도록 70인경을 헬라어로 번역할 때 '민수기'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1. 인구조사 출애굽기는 고센에서 시내산까지, 레위기는 시내산에서 받은 율법 이야기, 민수기는 시내산에서 모압 평지까지, 신명기는 모압 평지에서 기록 되었습니다. 민수기는 광야와 같은  생활을 하는 성도의 삶을 말하고 있습니다. 구원 받은 백성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말해주는 책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의 이동 경로로 많은 장소들을 말하고 있지만 그곳이 어디인지는 정확히 알 수가 없습니다. 민수기의 광야와 신명기가 알려주는 광야의 장소가 서로 다르게 표현된 곳도 많기 때문입니다.  민수기 1장은 시내산에서 애굽에서 나온 이스라엘 백성들의 장정의 수를 지파별로 기록하고, 26장에서는 광야 생활을 마친 후 모압 평지에서 2세대들의 인구를 조사한 것입니다. 모압 평지에서의 인구 조사는 1차 조사를 하고 광야를 거치는 동안 애굽에서 나온 20세 이상의 장정은 모두 죽고 그들의 후손들을 계수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민 1:2 너희는 이스라엘 자손의 모든 회중 각 남자의 수를 그들의 종족과 조상의 가문에 따라 그 명수 대로 계수 할 지니 민 1:3 이스라엘 중 이십 세 이상으로 싸움에 나갈 만한 모든 자를 너와 아론은 그 진영별로 계수하되 민 1:46 계수 된 자의 총계는 육십만 삼천 오백 오십 명이었더라 민 26:2 이스라엘 자손이 온 회중의 총수를 그들의 조상의 가문을 따라 조사하되 이스라엘 중에 이십 세 이상으로 능히 전쟁에 나갈만한 모든 자를 계수하라 하시니 민 26:51 이스라엘 자손이 계수 된 자가 육십만 천 칠백 삼십 명이었더라 지파별로 보면 요셉 지파와 아셀 지파는 인구가 많이 늘었고 시므온 지파는 시내산에서 계수 할 때는 유다와 단 지파의 뒤를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졌었으나 광야를 지나면서 음란과 우...

4. 셋과 에노스의예배

1. 아벨 대신 셋

하나님께서는 아벨의 죽음으로 아벨 대신 '셋' 을 주셨습니다. 셋이란? 대치하다 는 의미를 지닌 히브리어 '쉬트' 에서 유래했습니다. 아벨 대신 보상으로 주신 자라는 뜻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셋을 통해 다시 하나님의 계획과 꿈을 이어가셨습니다.

가인은 에덴 동 편 놋 땅에서 크게 문명을 이루며 번성해 가는데 셋은 이제 시작하니 세상의 문화인 가인의 후손들과 상대가 될까 할 수 있으나 하나님으로 시작하는 셋의 시간은 가인의 길보다  더 빠르고 복 되고 행복한 길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셋의 후손 에노스

셋은 105세에 에노스를 낳았습니다. 에노스라는 이름은 '연약한 자, 유한한 자' 라는 뜻입니다. 셋이 인생을 살아보니까 하나님 앞에서 인간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고 에노스라 한 것입니다. 에노스는 셋의 신앙 고백이 담긴 이름입니다. 
이것을 보면 셋은 에노스를 낳기 전 100여 년 동안 자신 혼자 개인 예배를 통해 하나님만 바라보고 의지하며 굳굳이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때론 가는 길이 멀어 보이고 이렇게 늦어서 언제 되나 싶고 외롭게 좁은 길을 갈 때가 얼마나 많았겠습니까? 세상에 악이 득세하는 가인의 후손들이 장악하고 있었는데 그 한 곳에서 묵묵히 하나님만 바라보며 개인 예배 하며 나아간 셋은 결국 세상을 이기는 믿음으로 승리합니다.

창 4:26 셋도 아들을 낳고 그의 이름을 에노스라 하였으며 그 때에 사람들이 비로소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더라 
성경은 에노스 때부터 사람들이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불렀다'는 히브리어로 '카라, 즉 예배하다' 라는 뜻이 있습니다. 아브라함이 예배하고 이삭이 예배 한 것과 같이 바로 셋의 아들 에노스 때부터 함께 예배 드리는 공동체 예배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3. 영의 사람과 육의 사람

이렇게 하나님을 떠난 가인의 후손들이 세상의 문화를 주도하며 번성하기 시작 할 때에 셋의 후손은 세상 문화 보다는 하나님께 먼저 예배 하기를 시작했던 것이죠.
가인의 후손들은 문화를 발달 시키고 세상 가운데 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그들은 하나님과 아무 상관 없이 자기 중심적으로 살아갔습니다. 가인의 후손들 중에서는 어느 누구 하나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거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 사람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셋과 그의 후손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며 예배 하는 삶을 살았다고 말합니다.
 셋의 후손은 세상을 중심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예배를 통해 하나님 중심으로 살면서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로 세상을 이겼습니다.

여기서 영의 사람인 조나단 에드워드 목사님의 후손들 이야기와 육의 사람이었던 맥스 쥬크의 후손들을 비교해 보도록 할께요.
조나단 에드워드 목사님은 경건한 여인 사라와 결혼해 슬하에 11명의 자녀를 둡니다. 그로부터 8대까지 내려가면서 그의 후손들은 부통령 1, 주지사 3, 대학 총장 13, 시장 3, 장 차관 82, 변호사 149, 판 검사 45, 목사 116, 의사 68, 대학교수 65, 세계적인 사업가 75, 발명가 25.... 수많은 후손들이 사회 곳곳에서 하나님의 일꾼으로 쓰임을 받았습니다. 반면 맥스 쥬크는 방탕한 여인과 결혼해 그들의 후손 5대에 걸쳐 2,240명이 나왔는데 그 중에 겨우 20명만 정상적인 인생을 살았고 나머지는 어릴 때 죽은 유아 사망자, 걸인, 도둑, 살인자, 매춘 부, 알코올 중독자 등이었다고 합니다. 이 두 가정을 보면 바로 셋의 후손과 가인의 후손을 보는 것 같지 않습니까?

셋의 후손도 가인의 후손과 동일하게 아담의 후손이기에 죄의 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도 가인의 후손들처럼 세상의 문화와 문명을 따라 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셋의 후손은 세상을 따라가지 않고 예배 하며 하나님을 따라가고 말씀을 따라가고 세속의 문화를 이겨냅니다. 
셋과 에노스는 예배를 통해 믿음을 지키고 믿음의 대를 이어 갔습니다. 셋의 후손 가운데 죽음을 보지 않고 살아서 하나님의 나라로 승천한 에녹이 있고 홍수 심판 때 온 가족을 구원한 노아가 나옵니다. 이렇게 보면 가인의 후손은 화려하고 용감하고 잘나가는 것 같았지만 그들은 홍수 심판 때 한 사람도 구원 받지 못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셋의 후손을 통해 아브라함과 다윗 그리고 예수님이 오셨습니다.(눅 3:23-38)

말씀과 기도 그리고 가정 예배와 개인 예배로 깨어 있어야 셋의 후손의 길을 가면서 가정을 구원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때에 나와 우리 가정을 지킬 수 있는 것은 바로 예배입니다.
오늘도 여러분의 가정에서 가정 예배 그리고 개인 예배 이루어 가시기를 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