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비 혁명
셀류쿠스 왕조의 안티오쿠스 4세는 이집트 2차 침공이 로마의 간섭으로 패배하자 고국으로 돌아가는 길에 그 분 풀이를 유대에 쏟아 붓고 갑니다. 그리고 유대에 칙령을 내리는데 그 칙령의 내용들이 하나님을 섬기는 유대인들에게 치명적인 것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안식 일을 금하고 성전에서 돼지와 같은 부정한 짐승을 제물로 바치고 남자아이들에게 행하는 할례를 금하고 성전에서 음란과 더러운 것으로 더럽히고 율법서를 모두 불태워 버리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명령을 따르지 않는 자들은 사형에 처한 다는 것입니다. 1. 마카비 혁명의 원인 이러한 명령은 유대 전 지역에 전달되었고 유대 지역의 작은 마을 모디인에게 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 작은 마을에도 성전에서 돼지를 잡아 희생 제물로 드리는 예식을 거행하게 한 것입니다. BC 167년 모디인에 하스몬 가문의 대제사장 마타디아는 그 모든 것을 거부합니다. 그러자 셀류쿠스 왕조에서 사람들을 보내고 다른 제사장이 그 일을 거행하게 되는데 마타디아는 그의 다섯 아들과 함께 성전에서 그 하는 모든 행위를 막고 그들을 처단합니다. '누구든지 하나님과 율법에 열심히 있는 자는 모두 나를 따르라' 라는 말을 외치자 신앙을 고수하고자 하는 많은 유대인들이 그들에게 모여 들었습니다. 마타디아는 자신의 다섯 아들과 함께 반란군을 조직하여 셀류쿠스 왕조 뿐 아니라 헬레니즘을 추구하는 유대인들에게도 맞서 싸울 것을 다짐합니다. 여기에 하시딤들이 가세하면서 반란군은 더욱 커지게 됩니다. 2. 하누카(수전절의 유래) BC 166년 반란군을 조직한 지 1년 만에 마타디아가 전사하고 반란군의 수장은 그의 셋째 아들인 유다 마카비가 이끌게 됩니다. '쇠 망치' 라는 별명이 뜻을 가진 마카비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으로 헬레니즘을 따르는 유대인들을 찾아내어 모두 살해합니다. 이에 헬레니즘 유대인들은 셀류쿠스 왕조에게 협조를 구해 마카비 군대를 대항하지만 유다 마카비는 여러 도시에서 연승을 올리며 결국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