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성경의 7대 절기

레위기 23장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여러 절기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 성경의 7대 절기 출 23:14 너는 매년 세 번 내게 절기를 지킬 지니라 출 23:15 너는 무교병의 절기를 지키라 내가 네게 명령한 대로 아빕월의 정한 때에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 지니 이는 그 달에 네가 애굽에서 나왔음이라 빈 손으로 내 앞에 나오지 말 지니라 출 23:16 맥추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말에 밭에서 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출 23:17 네 모든 남자는 매년 세 번씩 주 여호와께 보일 지니라 이스라엘에서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은 3대 명절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유월절 은 무교절과 초실절, 오순절 로 이어지며 초막절 은 나팔절, 속죄일과 연결됩니다. 그리하여 이 모든 명절을 성경의 7대 절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유월절, 초막절은 우리나라의 설날, 추석과 날짜가 비슷합니다. 특히 초막절은 우리의 추석과 같이 음력으로 같은 날짜에 해당합니다. 단 이스라엘의 음력은 우리 나라보다 1개월이 빠르기 때문에 우리의 추석이 음력 8월 15일이라면 이스라엘의 초막절은 유대력으로 음력 7월 15일이 됩니다. 7대 절기를 순서대로 알아볼까요? 1) 유월절 (유대력 음력 1월 14일~대한민국 음력 2월 14일) 레 23:5 첫째 달 열나흗날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나온 날을 기념하여 하나님이 직접 제정하신 구원의 날입니다. '넘어간다'의 뜻을 가진 유월절은 어린 양의 피가 문설주에 발라진 집은 구원 받았듯이 어린 양이신 예수님의 피로 우리는 죄 씻음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기념해 기독교인들은 고난 주간을 지킵니다. 유월절 제사가 화목제인 것처럼 예수님이 대신 영원한 화목제물로 죽으신 것을 기념합니다. 고전 5:7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 되셨느니라 2) 무교절(유대력 음력 1월 15일) 유...

하스몬 왕조와 헤롯가문

 마카비 혁명으로 세워진 하스몬 왕조는 예루살렘 동남쪽의 에돔 지역까지 정복하며 융성해집니다. 그런 하스몬 왕조에게 조공을 바치던 에돔의 헤롯 가문이 세계의 흐름이 로마에 있음을 파악하여 하스몬 왕조를 배반하고 로마에 붙습니다. 결국 에돔 총독 안티파터(헤롯이 아버지)는 로마의 폼페이우스를 도와 예루살렘을 정복하는데 일조합니다. 유대인들은 이때부터 로마와 헤롯 가문의 이중 지배 구조를 겪게 됩니다.



1. 유대의 왕이 된 헤롯

요세푸스 유대 고대사에는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을 정복할 때 유대인이 1만 2천 명이 죽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폼페이우스는 하스몬 왕조의 두 아들 싸움에 중재 역할을 한다는 명목으로 예루살렘에 들어옵니다. 그중 아리스토불로스 2세와 가족들을 모두 포로로 로마로 데려가고 힐카우스 2세를 남겨 자기네 맘대로 대제사장으로 임명합니다. 
그리고 유대가 정복한 에돔, 사마리아, 갈릴리, 데카폴리스등을 모두 독립 시켜 원주민들에게 돌려 줍니다. 이시기에 에돔인 헤롯이 옥타비아누스(아우구스)와 안토니우스를 찾아가 정치적 술수와 아첨을 통해 유대를 다스리는 '왕'의 칭호를 받게 됩니다. 그는 힐카우스가 다스리던 갈릴리 이두매 사마리아까지 다스리는 권한을 얻어 냅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헤롯을 싫어했습니다. 
헤롯은 유대인의 정통성을 인정받고 싶어 여러 부인이 있음에도 하스몬 왕가의 공주인 마리암네와 또 결혼합니다. 

대헤롯과 마리암네 이야기는 요세푸스 유대고대사에 아주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여러 명의 부인이 있었던 헤롯이 가장 사랑했던 여인은 유대 공주였던 마리암네였다고 합니다. 헤롯이 이 여인을 너무 도 사랑해 그가 로마로 옥타비아누스를 만나러 갈 때는 목숨을 건 위험을 감수하고 가는 길이었으므로 혹시 자신이 로마에서 무슨 변을 당하거든 마리암네를 바로 죽이라고 시종에게 명령을 내려놓고 갔다고 합니다. 왜 그랬을까요?
자신이 가장 사랑한 여인이 다른 남자에게 가는 것을 허락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이렇게 마리암네에게 집착했던 헤롯은 유대인들이 그녀와의 사이에서 난 자녀들만 지지하고 장모인 알렉산드라가 헤롯을 몰아 내려하자 자신과 마리암네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을 모두 죽이기에 이릅니다. 그리고 결국 마리암네도 죽이게 되지요. 그 후 마리암네를 못잊어 병에 걸립니다. 
후에 마리암네의 손자인 아그립바가 헤롯을 피해 도망가던 중 로마황제의 도움을 받아 유대의 분봉 왕이 되어 돌아오기도 합니다. 그가 사도행전에 나오는 충 먹어 죽은 헤롯 아그립바 왕입니다.

헤롯은 자신이 에돔인이라는 것이 컴플렉스였나 봅니다. 그는 유대인의 피를 갖고 싶어 했으니 말입니다. 

2. 헤롯의 치세

헤롯은 유대의 왕이 되어 자신을 싫어하는 유대인들에게 강경한 입장과 동시에 회유책을 폅니다. 그 회유책의 하나로 예루살렘 성전을 다시 지어주는 것이었습니다. 바로 헤롯 성전입니다. 바벨론에서 돌아온 피난민들이 세운 성전은 솔로몬 성전에 비하면 아주 초라하였습니다. 헤롯은 예루살렘에 화려하고 멋진 대 성전을 건축 함으로써 에돔의 피가 섞인 자신을 증오하는 유대인들에게 화해를 시도하였습니다.
또한 동시에 헤롯은 자신을 유대의 왕으로 세워준 옥타비아누스에게도 잘보이기 위해 유대의 해변에 신생도시 가이사랴 즉 카이사르의 도시를 지어 바칩니다. 헤롯은 로마의 황제 뿐 아니라 그 주변에 있던 사람들과도 친하였습니다. 옥타비아누스의 군사 친구 아그립파와 옥타비아누스의 견제 세력이었던 안토니우스와도 친구였습니다. 이들 뿐 아니라
헤롯은 옥타비아누스의 양아버지 카이사르와 친하게 지낼 때도 카이사르의 라이벌이었던 폼페이우스와도 친했습니다.  이렇게 헤롯이 로마의 지도자들과 친했다는 것은 그들에게 많은 뇌물을 바쳤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헤롯의 행동으로 클레오파트라가 그렇게 유대를 다스리게 해 달라고 안토니우스를 졸라도 안토니우스가 유대를 클레오파트라에게 허락하지 않은 것은 바로 자신의 친구인 헤롯이 다스리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헤롯은 유대인들을 압박해서 얻은 막대한 부를 이용해 정치적인 친분을 만들고 자신이 얻고자 했던 것을 얻은 것이지요. 유대의 왕의 자리 말입니다. 

헤롯은 BC 37-4년 까지 유대를 다스립니다. 그의 통치 말년에 예수님이 탄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