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성경의 7대 절기

레위기 23장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여러 절기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 성경의 7대 절기 출 23:14 너는 매년 세 번 내게 절기를 지킬 지니라 출 23:15 너는 무교병의 절기를 지키라 내가 네게 명령한 대로 아빕월의 정한 때에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 지니 이는 그 달에 네가 애굽에서 나왔음이라 빈 손으로 내 앞에 나오지 말 지니라 출 23:16 맥추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말에 밭에서 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출 23:17 네 모든 남자는 매년 세 번씩 주 여호와께 보일 지니라 이스라엘에서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은 3대 명절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유월절 은 무교절과 초실절, 오순절 로 이어지며 초막절 은 나팔절, 속죄일과 연결됩니다. 그리하여 이 모든 명절을 성경의 7대 절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유월절, 초막절은 우리나라의 설날, 추석과 날짜가 비슷합니다. 특히 초막절은 우리의 추석과 같이 음력으로 같은 날짜에 해당합니다. 단 이스라엘의 음력은 우리 나라보다 1개월이 빠르기 때문에 우리의 추석이 음력 8월 15일이라면 이스라엘의 초막절은 유대력으로 음력 7월 15일이 됩니다. 7대 절기를 순서대로 알아볼까요? 1) 유월절 (유대력 음력 1월 14일~대한민국 음력 2월 14일) 레 23:5 첫째 달 열나흗날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나온 날을 기념하여 하나님이 직접 제정하신 구원의 날입니다. '넘어간다'의 뜻을 가진 유월절은 어린 양의 피가 문설주에 발라진 집은 구원 받았듯이 어린 양이신 예수님의 피로 우리는 죄 씻음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기념해 기독교인들은 고난 주간을 지킵니다. 유월절 제사가 화목제인 것처럼 예수님이 대신 영원한 화목제물로 죽으신 것을 기념합니다. 고전 5:7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 되셨느니라 2) 무교절(유대력 음력 1월 15일) 유...

3. 가인의 후손들

 가인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제사를 받지 않자 동생 아벨을 살해했습니다. 하나님께서 가인에게 네 손으로 아벨을 죽였으니 네가 땅에서 저주를 받을 것이라(창 4:11) 했습니다. 가인은 지면에서 유리 하는 자가 되면 만나는 사람들이 자신을 죽일 것이라 걱정했어요. 하나님께서는 그를 긍휼히 여기사 가인에게 표를 주셔서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서 죽임을 면하게 하셨습니다. 이렇게 해서 가인의 삶이 출발 됩니다.


1. 가인이 세운도시 에녹성

가인은 하나님 앞을 떠나 에덴 동쪽 놋 땅에 거주했습니다. '놋' 이란 '도망하다 방황하다' 라는 뜻입니다. 그의 삶은 방황의 삶이었습니다. 하나님을 떠난 사람들의 삶은 방황의 삶입니다. 
가인이 결혼해서 아들을 낳고 이름을 에녹 이라고 했습니다. 가인은 자신이 머무른 땅에 성을 쌓았습니다. 그리고 그 성의 이름을 '에녹 성' 이라 했습니다.
창 4:17 아내와 동침하매 그가 임신하여 에녹을 낳은지라 가인이 성을 쌓고 그 아들의 이름으로 성을 이름하여 에녹이라 하니라
에녹성은 인류 최초의 도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시를 건설하고 잘 나가는 것 처럼 보여도 하나님을 떠난 가인은 불안한 마음이 있었기에 성을 쌓은 것이라고 봅니다. 하나님을 떠난 사람은 영적으로 죽은 사람이기에  아무리 큰 성을 쌓고 부와 명성을 가졌다고 해도 불안한 마음을 대신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더 큰 성을 쌓게 되고 더 많은 재물을 모으는 것이지요. 그러나 그것은 죽은 자의 삶과 같습니다.

2. 가인의 후손 라멕

가인의 후손 중 라멕(창 4:18)이 있습니다. 그 이름의 뜻은 강한 자, 힘센 자 입니다. 그는 하나님이 정해 놓으신 일부 일 처의 원리를 깨버리고 일부 다 처의 시조가 되었습니다. 
창 4:19 라멕이 두 아내를 맞이하였으니 하나의 이름은 아다요 하나의 이름은 씰라였더라
창 4:23 라멕이 아내들에게 이르되 아다와 씰라여 내 목소리를 들으라 라멕의 아내들이 내 말을 들으라 나의 상처로 말미암아 내가 사람을 죽였고 나의 상함으로 말미암아 소년을 죽였도다 
창 4:24 가인을 위하여는 벌이 칠 배 일 진대 라멕을 위하여는 벌이 칠십 칠 배 이리로다 하였더라
23절부터 라멕이 부른 이 노래를 흔히 '칼의 노래' 라고 하는데 라멕은 두 아내 앞에서 사람을 죽인 것을 아무런 죄책감 없이 큰 소리로 노래합니다. '가인을 죽이면 벌이 칠 배이지만 라멕 자신을 죽이면 칠십 칠 배'라고 큰소리치며 자신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그 말 속에 여전히 많은 불안감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을 떠나 사는 사람들의 현실입니다. 가인처럼 라멕처럼 여러분도 두려움과  불안에 떨고 있습니까?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십시오. 그리하면 하나님이 주시는 참 평안으로 그렇게 큰 성을 쌓지 않아도 됩니다.

3. 가인의 후손들

라멕의 후손 중에
야발 - 그는 장막에 거주하며 가축을 치는 자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유발 - 그는 수금과 퉁소를 연주하는 음악 인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두발가인 - 구리와 쇠로 여러가지 기구를 만드는 자로 청동기 문명과 철기 문명을 주도하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가인의 후손들은 놋 땅에서 문화와 문명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들이 하는 모든 일은 오로지 자신들을 위해서였습니다. 놋 땅은 이 세상의 축소판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세상의 사람들이 오로지 자신들을 위해 일하며 세월을 보내듯이 하나님이 없는 사람들의 삶은 그들의 일이 신앙이 되고 우상이 되어 갑니다. 자신의 영토를 넓히고 청동기 철기를 이용해 싸우고 점령합니다. 가인의 후손들은 오로지 자신들의 일을 위해 문화와 문명을 발전시키며 산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문화와 문명을 발전시키면서도 음악으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자들이 있고 자신들이 발전시킨 문명으로 하나님께 예배 하는 자들이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그들을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