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역사특강 신명기

 

📖 신명기: 모세가 전한 마지막 역사특강

– 가나안을 앞둔 이스라엘 2세대에게 주는 유언과 교훈 –

신명기는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한 후 40년이 지나, 가나안 땅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모세가 이스라엘의 **‘2세대’**에게 전한 설교집이다. 출애굽 1세대는 광야에서 불순종으로 거의 다 죽었고, 이제 남은 새로운 세대가 약속의 땅에 들어가게 되었다. 모세는 그들에게 과거를 돌아보게 하고, 하나님의 율법을 되새기며, 미래에 어떤 삶을 선택해야 하는지를 강조한다. 이 설교는 단순한 율법 나열이 아니라, 역사를 통한 교훈, 사랑의 권면, 영적 유언이라 할 수 있다.


1. 지나온 광야의 역사 – “하나님이 여기까지 인도하셨다”

(신명기 1~4장)

모세는 먼저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한 이후 겪은 여정을 되돌아본다. 홍해를 건넌 후 시내산에서 하나님의 율법을 받고, 가데스 바네아에서 정탐꾼의 부정적인 보고로 인해 믿음을 잃고 광야를 40년간 떠돌아야 했던 사건을 상기시킨다. 하나님은 불신과 불순종을 책망하셨지만, 동시에 만나를 내려주시고, 옷과 신발이 해어지지 않게 하시며 그들을 돌보셨다.

모세는 이 과정을 통해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공의, 그리고 은혜를 강조한다. 백성들은 이 역사를 통해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워야 한다. 실패의 역사를 잊지 말고, 똑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말라는 것이다.

2. 하나님의 말씀을 마음에 – “율법은 생명이다”

(신명기 5~26장)

신명기의 중심은 바로 이 부분이다. 모세는 십계명을 다시 선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실천해야 할 율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단락에서는 특히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명령이 강조되며, 유대 전통에서 가장 중요한 구절로 여겨지는 **쉐마(Shema, 신 6:4-9)**가 등장한다.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여호와를 사랑하라.”

이 율법은 단순한 종교적 규칙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삶의 기준이다. 예배, 정의, 이웃 사랑, 공정한 재판, 타인에 대한 배려 등 공동체 전체가 거룩하고 정의롭게 살아가도록 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특히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말은 “기억하라”, “잊지 말라”,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라”이다. 모세는 다음 세대가 하나님을 잊지 않도록, 부모 세대가 반드시 신앙을 계승해야 함을 강조한다.

3. 생명과 죽음, 복과 저주의 길 – “너는 생명을 택하라”

(신명기 27~34장)

신명기의 마지막 부분은 백성들에게 중대한 선택을 요구한다.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살면 축복의 삶이 있고, 그 말씀을 저버리면 저주와 멸망이 따른다는 것이다. 축복과 저주의 선언은 에발산과 그리심산에서 선포되며, 이는 선택이 분명히 삶의 결과로 이어진다는 영적 진리를 보여준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언약을 다시 맺자고 요청한다. 이는 단순히 조상들의 믿음을 계승하는 것을 넘어, 각자가 하나님 앞에서 스스로 믿음을 결단하라는 요청이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죽음을 앞두고 마지막으로 백성들을 축복한 후, 느보산에서 가나안을 바라본 뒤 생을 마친다.

“내가 오늘 너희 앞에 생명과 복, 사망과 화를 두었으니... 너는 생명을 택하라.” (신 30:19)

4. 신명기의 시대, 우리나라의 모습은?

모세가 신명기를 설교하던 시기는 학자들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기원전 1400년 전후로 본다. 이 시기는 출애굽 후 40년이 지난 시점으로, 요단강 동편 모압 평지에서 이루어진 사건이다.

그렇다면 그 무렵 한반도는 어떤 시대였을까?

한국 전통 사료인 『삼국유사』에 따르면, 단군왕검이 기원전 2333년에 고조선을 건국했다고 전해진다. 물론 이 연대는 역사적으로 논란이 있지만, 이를 기준으로 본다면 모세가 신명기를 전하던 시기는 고조선 중기 무렵으로 볼 수 있다.

이 당시 한반도에는 청동기 문화가 발달해 있었고, 농경과 공동체 중심의 생활이 이루어졌으며,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제천의식 등 종교적 활동도 존재했다.

  • 모세의 신명기 설교 시점: 약 기원전 1400년경

  • 한반도의 시대: 고조선 초기~중기, 청동기 문화 중심

* 마치며

신명기는 단순한 율법서가 아니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과 함께했던 역사, 하나님의 말씀을 마음에 새기고 살아가는 삶, 앞으로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결단을 촉구하는 메시지이다. 그리고 이 메시지는 수천 년이 지난 오늘날을 사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과거를 기억하고, 말씀을 마음에 새기며, 오늘의 선택이 내일의 삶을 결정한다는 신명기의 가르침은, 인생의 전환점을 맞은 이들에게 꼭 필요한 지혜가 될 것이다.

25. 여호수아 -약속의 땅을 향한 첫걸음(“Joshua – The First Step Toward the Promised Land”)

 Joshua Chapters 1–5 "Moses completed his ministry by conquering the land east of the Jordan, but the task of conquering Canaan was en...